기사상세페이지
하이드 파크 공연하는 블랙핑크
미국과 유럽 등 서방 국가 대학에서 한때 가장 인기 있는 외국어였던 중국어의 학습 열기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한국어는 K팝 등 한류 붐에 힘입어 인기가 높아졌다고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이 매체는 미국현대언어협회(MLA) 보고서를 인용, 2013∼2021년 미국 대학의 외국어 수업 현황 분석 결과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학생은 57% 급증했다.
클레이턴 두브 전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미중연구소 소장은 "현재 가장 핫한 동아시아 언어는 한국어다. 이를 주도하는 것은 100% 케이팝"이라고 말했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 대학의 중국어 수강생은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도 중국어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은 확연히 줄었다.
영국 고등교육통계청(HESA)에 따르면 2023년 영국에서 중국어를 공부하는 대학생 수는 정점을 찍었던 2016년 대비 35% 줄었다.
독일이나 프랑스에서는 중국어 학습자가 줄지는 않았지만, 다른 언어보다 증가세가 미미하다.
독일의 경우 대학입학 전 중국어 학습 프로그램 참가자 수가 2017∼2023년 사이 700명 남짓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비해 스페인어 학습자는 3만명 이상 늘었다.
전문가들은 최근 수년간 중국의 경제 둔화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의 폐쇄적인 정책, 서방 국가와의 긴장, 호감이 덜 가는 국가 이미지 등으로 중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사그라들었다고 짚었다.
독일 싱크탱크 메르카토르 중국연구소(MERIC)의 클라우스 쑹 연구원은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엄격한 봉쇄 조치와 장기간 국경 폐쇄 등으로 큰 변화가 있었다며 "중국의 국제적 이미지는 현재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대만으로 중국어를 공부하러 오는 외국인이 코로나19 이후 늘어났다는 점에서 중국의 제한적인 환경이 더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대만교육부에 따르면 2023년 대만 내 대학 부설 어학원으로 중국어를 공부하러 온 외국인 수는 3만6천350명으로 코로나19 이전 정점이었던 2019년 대비 12% 증가했다.
쑹 연구원은 중국이 국가안보 관련 통제를 강화함에 따라 환경이 제한적으로 변하면서 본토에서 중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을 위한 공간이 "극적으로 쪼그라들었다"며 반면 대만의 매력은 높아졌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협약)
많이본뉴스
많이 본 뉴스
- 1[신세계식품] 음료수 썸머 세일(주류 제외)
- 2[진솔학원] 홍콩 유일의 한국 종합학원/어학원
- 3[홍콩 생활을 위한 필수 중국어] 동작의 진행
- 4[이승권 원장의 생활칼럼] 바삭, 달달, 짭짤.. 광동요리의 별미 시우메이
- 5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7-17 (목)
- 6[김정용 변호사의 법률칼럼] New Trade Descriptions Law - 개정 상품설명법
- 7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7-18 (금)
- 8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7-19 (토)
- 9태풍 '위파' 접근, 현재 T10 발령 중...오후 2시 정도까지 유지 예상
- 10태풍 위파로 인한 특별 교통 조정 발표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