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산업 특성 산업 환경 홍콩은 세계 10대 상품 무역지 중의 하나로, 효율적인 항만 시스템과 선주, 화주, 무역업체, 해운 서비스 제공 업체들을 기반으로 국제 무역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곳이다. 홍콩 해사처가 UNCTAD(유엔 무역개발협의회)의 자료를 인용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홍콩은 상하이, 싱가포르, 광저우, 부산 등에 이은 세계 10위의 물동량을 기록 중인 항구 도시이자 리베리아와 파남, 마셜 제도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선박 등록국이다. 2024년 6월 기준 홍콩...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의 소비 성장세는 전반적으로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총 소비 판매액은 약 3.5% 증가했으나, 이는 전년 대비 증가폭이 크지 않은 수준이다. 특히 소매 판매 증가율은 작년 2월 5.5%로 정점을 찍은 이후 줄곧 3% 내외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어 내수 회복이 더딘 상황이다. 여기에 저조한 취업률과 부동산 시장 침체 등 구조적 문제까지 겹치면서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있으며, 소비자 신뢰 지수 역시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
중국의 요식업은 도시화와 중산층 확대를 기반으로 성장세를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중국 요식업 시장의 진입 장벽이 낮아지고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업들은 차별화된 가치로 소비자 니즈를선점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는 단순한 트렌드 적응을넘어, 혁신과 전략적 현지화의 융합이 성패를 가르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의미한다. 차별화 전략은 중국 시장 진출에 있어 반드시고려돼야 할 중요한 과제다. 2024년 신흥 요식업 트렌드 ① 건강하게, 투명하게 2024년 중국 요식업 산업은 전환점을 맞이했으며,...
개요 중국-홍콩 CEPA(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는 중국 본토와 홍콩 간의 자유무역협정으로서 2003년 6월 9일에 최초 체결되었다. 두 지역 간의 경제 협력 및 통합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홍콩의 중국향 상품, 서비스무역 및 투자에 대한 우대 조건을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번 2차 서비스 무역협정 개정안은 홍콩 투자 기업(외투기업 포함)은 GBA(웨강아오 대만구) 시범도시 진출 시 홍콩 법률이 적용되고 중재 장소로 ...
2024년 홍콩의 대외무역 동향 홍콩의 2024년 상품 교역이 호조세를 보였다. 2025년 2월 홍콩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홍콩의 총 교역 규모는 1만 2134억 달러로, 2023년(1만 1311억 달러) 대비 약 7.3% 증가 했으며, 수출과 수입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8.7%와 6.0%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무역발전국(HKTDC)에서 수출기업들을 대상으로 조 사ㆍ발표 중인 수출신뢰지수(ECI, Export Confidence Index) 도 2024년 홍콩 수출 환경의 ...
중국 구매력 성장이 이끄는 패션산업 확대 중국 소득 수준 향상과 함께, 비필수품인 의류, 신발, 액세서리등 패션산업 시장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중국 패션산업 성장으로소비자들의 선택지가 늘어나며 중국 소비자들은 고품질의 독특한패션에 기꺼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자 한다. Frost & Sullivan(弗若斯特沙利文) 및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패션산업의 시장 규모는 지속 성장 중으로 2020~2025년까지의 예상 연평균 성장률(CAGR)은3.5%이며, 2025년에는 시장 규...
중국 골프 산업, 코로나 기간 주춤했으나 회복 추세 중국 골프 시장은 2019년 126억 위안에서 코로나 기간 동안 잠시 축소됐지만 2023년 125억 위안까지 회복됐다. 최근 중국은 아웃도어 활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골프 산업 또한 아웃도어 활동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향후에도 완만하 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에는 총 353개의 골프장이 있다. 중국 골프장은 광둥성, 베이징, 하이난성, 장쑤성, 산둥성 등에 주로 분포해 있다. 외국계 기업이 밀집해 있고 1인당 국민소득...
오픈형 이어폰이란? ‘오픈형 이어폰(OWS, Open Wearable Stereo)’은 블루투스이어폰 시장에서 떠오르는 신제품이다. 다른 이어폰과 달리 오픈형 이어폰은 귀를 완전히 막지 않고도 고품질의 음질을 보장한다는 장점이 있다. 즉, 귀를 완전히 막아 고막에 가해지는 압박이 큰커널형 이어폰보다 고막 손상이 덜하며, 귀를 완전히 막지 않기때문에 주변 소리도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픈형 이어폰, 커널형 이어폰 대체재로 부상 오픈형 이어폰은 위와 같은 장점과 기존 이어폰과 차별화...
라이트밀을 찾는 중국인들이 많아졌다? 최근 중국 사회의 전반적인 발전과 더불어 헬스케어에 대한 중시와 옌즈경제(颜值经济, 외모 중심의 소비 활동에 따른 경제효과)의 열기가 지속적으로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많은 대중들은 신체 강화 및 체중 감량 수단으로 식단 관리를 우선순위에 놓고 있다. 이에 중국에서 ‘칭쓰(轻食, 가벼운 식사)’로 불리고 있는 라이트밀 소비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라이트밀이란 간단한 조리법을 통해 재료본연의 영양과 맛을 유지한 가벼운 음식으로, 저지방, 저칼로리, 저당 등 특징을 갖춘 고...
2024년 홍콩 경제 동향 2024년 홍콩 경제는 지정학적 리스크, 금융시장 변동성, 그리고 주요국의 대선 이후의 정책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2023년 1분기 이후로 7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기록하며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2024년 3분기 기준으로 홍콩의 실질 GDP는 전년 동기 대비 2.6% 성장(1분기 +2.8%, 2분기 +3.2%, 3분기 +1.8%) 하며 홍콩 정부가 제시한 목표치에 부합 중이다. 주요 GDP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상품 수출은 크게 증가한 반면...
*편집자 주: 기사에서는 1 USD=7.8 HKD 환율을 적용했다.달러 페그제에 따른 환율 유지 범위(*1 USD=7.75~7.85 HKD)의 평균값으로, 달러 페그제는 한 국가가 자국의 통화 가치를 미국 달러에 고정하는 환율 제도를 의미한다 시장 동향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 (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홍콩의 커피 매출액은 전년 대비 3.8% 증가한 3억873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판매량은 전년 대비 2.6% 증가한 6348톤을 기록했다. 유로모니터에서는 커피를 원...
2024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개요 글로벌 전시 주최사인 인포마 마켓(Informa Markets)이 주관하는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2024 CosmoProf Asia Hong Kong)은 아시아 최대의 B2B 뷰티·미용 전시회로, 이탈리아 볼로냐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되는 코스모프로프와 함께 세 계 3대 뷰티·미용 전시회로 손꼽힌다. 2024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은 11월 13일부터 15일까지 홍콩 컨벤션센터(Hong Kong Conventi...
*편집자 주: 기사에서는 1USD=7.8HKD 환율을 적용했다. 달러 페그제에 따른 환율 유지 범위(*1 USD-7.75~7.85 HKD)의 평균값으로, 달러 페그제는 한 국가가 자국의 통화 가치를 미국 달러에 고정시키는 환율 제도를 의미한다. 시장 현황 팬데믹의 영향으로 잠시 주춤했던 홍콩의 색조 화장품 시장이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다. 코로나19가 종식됨에 따라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고, 경제 활동과 사교 모임이 점차 활발해지면서 색조 화장품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시장 ...
산업 특성 1. 산업 관련 정책 및 규제 홍콩은 자유무역항으로, 대부분의 수입 제품에 대해 별도의 인증을 요구하지 않는다. 소비재로 분류돼 있는 화장품 또한 수입 및 판매 전에 자체 안전 점검을 의무화하는 조항이 없다. 그러나 소비자의 안전을 위해 홍콩 해관은 ‘소비재 안전조례’(Cap. 456 Consumer Goods Safety Ordinance)에 따라 소비재의 제조업자, 수입업자, 공급업자가 해당 품목의 적절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2018년부터 중국 본토는 화장품(스킨케어...
홍콩의 F&B(식음료) 시장 규모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홍콩의 식당 수입(Restaurant Receipts)은 140억4330만 미 달러로, 전년 대비 26.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의 F&B 시장은 팬데믹으로 인해 일시적인 침체를 겪었으나, 점차 회복세를 보였다. 2024년 상반기 수입액은 70억6140만 미 달러를 기록했으며,이는 팬데믹 이전인 2018년 상반기 누적 수입액인 76억770만미 달러의 92.8% 수준이다. * 환율: 1 USD = 7.8 HK...
2024 홍콩 추계 전자 전시회가 10월 13일부터 16일까지 총 4일간 홍콩 컨벤션 센터(Hong Kong Convention and Ex- hibition Center, HKCEC)에서 개최됐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MWC(Mobile World Congress)와 함께 세계 3대 전자 전시회이자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전자 전시회인 홍콩 전자전시회는 연 2회, 춘계와 추계로 나뉘어 개최된다. 44 번째를 맞이한 이번 추계 전자 전시회는 올 4월에 있었던 춘계 전자 전시회...
*편집자 주: 기사에서는 1USD=7.8HKD 환율을 적용했다. 달러 페그제에 따른 환율 유지 범위(1USD=7.75~7.85HKD)의 평균값으로, 달러 페그제는 한 국가가 자국의 통화 가치를 미국 달러에 고정시키는 환율 제도를 의미한다. 홍콩 음식 배달 서비스 시장 규모 및 동향 홍콩 F&B 배달 서비스 업계는 주거 공간이 협소해 집에서 요리하기가 어렵다는 지역적 특성과 바쁜 도시형 라이프 스타일을추구하는 홍콩 소비자의 성향에 맞추어 다양한 메뉴 옵션과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성장하...
홍콩 데오도란트 시장 규모 및 동향 홍콩 천문대(Hong Kong Observatory)에 따르면, 1991~2020년 홍콩 연평균 기온은 23.5 °C며 6~9월 평균기온은28.5°C 이상을 기록했다. 홍콩은 온난 습윤한 아열대 기후에 속해, 땀과 체취를 관리할 수 있는 데오도란트 제품 수요가 꾸준하다. 시장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2023년 홍콩 데오도란트 시장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9938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부터는 연평균 2.1%의 증가율을 보이며 지속적...
2024년 상반기 홍콩 대외무역 동향 2023년 대비 2024년 상반기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다. 2024년 7월 홍콩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홍콩의총교역 규모는 5805억 달러로, 작년 동기(5285억 달러) 대비 약9.8%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상반기 상품 수출과 수입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2%와 7.7% 증가했으며, 7월 한 달간의 상품수출과 수입도 전년 동월 대비 13.1%와 9.9% 증가를 기록했다. 홍콩은 기본적으로 자유무역지역으로, 수출입이 비교적 ...
전시회 개요 ‘2024 홍콩 식품 전시회(Food Expo 2024)’는 지난 8월 15~19일 5일 간 홍콩 컨벤션 센터(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HKCEC)에서 개최됐으며, 중국, 한국, 일본, 캐나다, 베트남 등 세계 각국의 식품 관련 기업이 참가했다. 특히 Hong Kong International Tea Fair(차 전시회), Beauty & Well- ness Expo(뷰티 상품전), Home Delights Expo(가전/가구 ...
시장 규모 및 동향 시장조사 기관 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홍콩 스마트폰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6% 증가한 19억8570만 달러를 기록했다. 홍콩 스마트폰 시장은 2024년부터 연평균 14.4%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8년에는43억375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3년 홍콩의 스마트폰(HS 851713) 품목 전체 수입 규모는약 356억5699만 달러로, 전년 대비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