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식품에 대한 홍콩 현지 소비자의 높은 관심 한류의 영향 등으로 최근 인지도를 쌓고 있는 한국 식품에 대한 홍콩 현지 소비자의 반응은 뜨거웠다. 몸에 좋은 인삼 제품부터 간장게장, 대게장, 오징어 젓갈 및 명란젓, 전복/굴 통조림 등 수산식품 등 우리 식품들은 홍콩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산 젓갈류 제품을 판매하는 업체 J사에 따르면, 간장게장, 오징어·낙지·명란젓과 같은 식품이 특히 인기가 많았으며, 이번 전시 기간 동안 가져온 대부분의 상품을 판매해 홍콩 소비자들의 한국 ...
전시회 개요 ‘2023 홍콩 식품 전시회(Food Expo 2023)는 지난 8월 17~21일 5일간 홍콩컨벤션센터(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HKCEC)에서 개최되었으며 인도네시아, 일본,케냐, 한국, 멕시코, 폴란드, 스리랑카, 태국, 중국 등 세계 각지푸드 관련 기업들이 참가했다. 특별히 해당 전시회는 ‘Beauty& Wellness Expo(화장품 등 뷰티 상품전)’, ‘Home DelightsExpo(가전/가구 상품전)’, ‘Hong Kong...
시장 규모 Euromonitor에 따르면 2021년 홍콩 면류 시장 규모는 20억9,370만 홍콩 달러(약 2억 6,842만 미 달러)로 2020년 21억2350만 홍콩 달러(약 2억7,230만 미 달러)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나, 2022년에는 7.3% 증가한 22억4,670만 홍콩 달러 (약 2억8,800만 미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면류와 같은 간편 음식의 수요도 같이증가한 데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홍콩 면류 시장은 2027년24억2,390...
홍콩 향수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 Euromonitor에 따르면, 2017년 약 2억263만 달러에 달했던 홍콩 향수 시장 규모는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약 9106만 달러까지 감소했으나 2021년부터 점차 회복세에 접어들며 2022년 1억3283만 달러를 기록했다. 향수는 크게 대중들에게 친숙한 향을 가진 매스(Mass) 향수와 소수 프리미엄층의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독특한 향을 가진 프리미엄(Premium) 향수로 나뉘며 프리미엄 향수 중에서도 가죽 향이나 담뱃잎 향, 우디향 등 원료 그대로의 특...
홍콩 부동산, 건설 분야 내 그린 빌딩(Green Build-ing) 트렌드 1) 그린 빌딩 인증 취득을 통한 마케팅 측면에서의 차별화 최근 그린 빌딩에 대한 관심은 그린 빌딩 인증 취득 트렌드로이어졌는데,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지(SCMP)에 따르면 그린 빌딩 인증 중 하나인 미국 USGBC(U.S. Green Building Council)의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인증을 취득한 홍콩 내 신규 건설 프로젝트 수는 지난 5년간 연 평...
최근 홍콩 정부가 추진 중인 친환경 정책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총회 글래스고 기후합의(Glasgow Climate Pact) 채택을 앞둔 2021년 10월, 홍콩 정부는 기후행동계획(Hong Kong’s Climate Action Plan 2050)을 선언하며 2050년까지 ‘탄소 중립(Net Zero)’ 달성 목표를 발표했다. 이는 앞선 2020년 발표된 중국 본토의 ‘3060 탄소중립 목표(2030년 을 정점으로 탄소배출량을 점차 감축해, 206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목표), 제 14차 5개년 계획(...
지난 7월 25일 ‘2023 세계 스낵 전시회(World of Snacks 2023)’가 막을 내렸다. 7일간 홍콩컨벤션센터(Hong Kong Con- 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HKCEC)에서 오프라인으로 진 행된 이번 전시회는, 2022년과 마찬가지로 ‘홍콩 도서전(Hong Kong Book Fair) 및 홍콩 스포츠 및 레저 전시회(Hong Kong Sports and Leisure)과 함께 치뤄졌으며, 주최사 추산 약 100만 명의 관람객이 참여하는 등 현지 소비자들의 큰 호응...
마카오 주요 세금 유형 및 세율 1) 기업 소득세(3%~12%) 소득세는 자연인 및 법인이 마카오에서 상업(기업) 활동으로 얻은 모든 소득에 부과되며 누진세율을 적용해 과세된다. MOP 32,000 이하의 겨우 면제하며, MOP 300,000 이상인 경우 12% 고정 세율을 부과한다. 2023년 회계연도에서는 주요 세금에 대한 세금 혜택이 발표되었으며 소득세의 경우, 혁신기술 연구 및 개발을 한 경우나 포르투갈어권 국가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 세금을 기 납부한 경우, 마카오에서의 일정 범위 내에서 세금을...
마카오 내 사업체 유형 마카오 내 사업체 유형으로는 자연인 상업기업, 법인 상업기업, 경제이익집단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법인 상업기업의 경우, 기업 주주 수, 자본금 및 출자 방식에 따라 총 6가지로 나뉠 수 있다. 1) 자연인 상업기업 자연인 상업기업은 개인기업이라고도 불리며 구 상법전(商法典)의 ‘독자상인’에 해당한다. 이는 개인 명의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 또는 제3자를 통해 운영되는 기업을 뜻하며, 기업은 ‘상업 및 동산 등록국(CRCBM)’내 등록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
최근 홍콩 취업시장 현황 지난 2022년 10월 홍콩 존 리(John Lee) 행정장관은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았던 지난 2년간 홍콩은 약 14만 여명의 인력 유출이 있었다고 밝혔으며, 엔데믹(Endemic)인 현재 또한 대부분의 주요 산업 분야에서 인력 수요가 높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3월 기준 홍콩 주요 산업 분야 내 결원율은 2.8%, 총 7만7,751개의 결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4.8% 증가한 수준이었다. 주요 산업 중 가장 높...
2021년3월에발표된2035년중국의국가경제와사회발전및장기목표를위한14차5개년규획에서중국중앙정부는지역IP거래허브로서홍콩의지위를상향시키는내용을포함했다. 이와발맞춰존리행정장관또한2022년10월시정연설을통해홍콩의법률시스템과지재권보호시스템의제도적이점을활용하여홍콩을지역IP거래허브로개발할것을홍콩정부의정책사항중하나로삼았다. 해당정책계획의 세부사항 중에는 지식재산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2023년까지 홍콩 출원인의 중국 본토 특허 출원에 심사 우선권을 부여하는 사업을 시작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관련하여중국지식재산권국(CNIPA...
시장 트렌드 동향 2) 틈새시장을 노린 맞춤형(Customized) 제품 출시 확대 Euromonitor에 따르면, 최근 펫푸드 시장 트렌드 중 하나는맞춤형(Customization)으로서, 사료 제품의 세분화(Segmentation)가 뚜렷해지고 있다. 제품의 세분화 기준은 기존 반려동물의 나이(강아지, 성견, 노령견)를 넘어서, 이제는 품종, 특정 질병(신장 질환, 소화 질환, 간 질환, 알러지, 혈당 관리 등), 건강 관리(체중 관리, 관절 개선, 피부 모발 개선, 치아 개선, 정신 건강), 특정...
시장규모 및 동향 시장조사 기관 Euromonitor에 따르면, 펫푸드, 세면용품, 장난감 등이 포함된 전체 펫케어(Pet Care) 산업 중에서 펫푸드 시장이 전체의 61.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2년 세계 펫푸드 시장 규모는 약 1234억 미 달러였으며, 이 중 홍콩 시장 규모는 전체의 4.5% 수준인 56억 미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펫푸드 중 고양이푸드(52.6%)과 애견푸드(47.4%) 비중이 전체 펫푸드 매출의 99%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어류, 조류, ...
매끄러운 일상을 제공하는 심리스(Seamless) 테크놀로지 봉제선이 없는 의류와 같이 ‘아주 매끄러운 상태(Seamless)’의 끊김없는 일상을 지원하는 하이테크(High-Technology) 전자제품 또한 눈길을 끌었다. 홍콩 기업인 Brilliant Guard Limited사에서 생산한 IoT를 활용한 스마트 자물쇠(Smart Lock)는 일반적인 자물쇠와 달리 모든 자물쇠의 설정 상태를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각 열쇠마다 열 수 있는 자물쇠를 설정할 수 있어 당장 열쇠 하나...
지난 4월 15일 아시아 최대 전자 박람회 중 하나인 2023 홍콩 춘계 전자제품 전시회가 막을 내렸다. 홍콩 컨벤션센터(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HKCEC)에서 오프라인으로 총 4일간 진행되었던 이번 전시회에는, 4일 내내 전 세계 각국 수많은 바이어와 전시기업들로 붐비는 등 코로나 이전의 전시장 열기를 되찾은 분위기였다. 이번 2023년 춘계 전자제품 전시회는 ‘Connecting the World with Innovations for Better Liv...
시장규모 및 동향홍콩은 세계적인 가정용품(Houseware) 소싱 센터로서, 주방용품, 식탁용품, 비전자 가정용 쿠킹웨어, 위생도기, 홈인테리어 등 다양한 가정용품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한다. 시장조사 기관인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1년 홍콩 가정용품 시장 규모는 23억 홍콩달러(약 2억9,500만 미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7.3% 증가했다. 이 같은 성장은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의한 원자재 가격 및 물류비 증가로 가정용품 제품 가격이 상승하고 펜데믹으로 인한 가정 내 체류시간이 ...
시장 특성 : 현지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 형태 선호홍콩은 상대적으로 시장 규모가 작기 때문에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가장 일반적인 계약 유형은 '지역분할*' 방식이다. 홍콩 프랜차이즈 기업은 일반적으로 서브 프랜차이징을 두기보다는 홍콩 내 모든 가맹점을 직접 운영하는 것을 선호한다. 또한 홍콩 지역 내 기업이 프랜차이즈 업체와 제휴하여 공동으로 지분을 투자하여 프랜차이즈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경우도 있다. 주변 아시아 지역에 소재한 특정 브랜드의 마스터 프랜차이즈(Master Fr...
시장 개요 : 서비스 중심의 시장으로 '프랜차이즈 사업 모델' 지속 확산홍콩 GDP의 94% 이상은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고 있어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모델이 서비스 산업 전반으로 확대되는 분위기다.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모델은 식음료, 소매/유통 분야 외에도 세탁 서비스 등 기타 서비스 부문까지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간 홍콩 프랜차이즈 시장도 1970년대 맥도날드와 KFC라는 두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 진출을 시작으로 피자헛, 세븐일레븐, 서브웨이, 스타벅스, 파이브가이즈 등 수많은 유명 글...
국제 허브 도시(Asia's World City)로서의 위상 회복 노력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서의 홍콩의 위상을 회복하기 위한 초대형 이벤트 개최와 홍보에 1억 홍콩달러(약 1,273만 미 달러), 홍콩 팝 컬처 페스티벌과 홍콩 와인 페스티벌 등을 위한 신규 이벤트 개최 등에 2억 5,000만 홍콩달러(약 3,185만 미 달러) 가 각각 배정됐다. 또한 컨벤션 및 전시회(MICE*) 분야 강화에 2억 홍콩달러(약 2,548만 미 달러) 를 배정했다. 아울러 금융감독...
2월 22일 홍콩 정부는 2023/2024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하였다. 이번 예산안에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소비 진작과 기업 지원 정책, 해외 인재 및 자본 유치 계획 등이 포함돼 홍콩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청년과 스타트업들의 주목이 필요하다. 2023/2024회계연도 홍콩 예산안 개요 이번에 발표된 ‘홍콩 2023/2024회계연도 예산안(FY 2023/2024)’은 2023년 4월 1일에 시작해 다음 해인 2024년 3월 31일에 종료된다. 1년 간 총 지출규모는 7,610억 홍콩달러(약 969...
2022년 홍콩의 상위 10대 품목 품목별로 살펴보면, 10대 수출과 수입 품목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는 홍콩은 기본적으로 재수출 중심의 무역 구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가령, 전체 수출과 수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전자집적회로(HS 8542)로서 전체 수출의 35%, 수입의 33%를 차지했다. 10대 수출 품목 대부분이 전년 대비 수출액이 감소했으며, 특히 전체 수출의 약 45%를 차지하는 전화기, 자동자료처리기계, 기계 부분품의 수출이 각각 27....
홍콩수요저널이 추천하는 집단 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