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769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지난 회에서 등장시키지 못한 주요 양념장들을 먼저 소개한다. 사실 종류가 너무 많아 선정하는데 애를 먹었다. 이중 몇 가지를 골라 소개한다 (오늘 등장하는 양념의 이름은 직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어로 표기한다) 어떤 요리에도 잘 어울리는 굴소스(蠔油) 광동어로 ‘호우야우’라 불리는 일명 굴소스다. 개인적으로 삶은 상추에 찍어 먹는 굴소스를 좋아한다. 현지 식당에 가면 즐겨 먹는 야채 요리가 바우주오 셩차이(白灼生菜)인데 상추를 담백하게 삶은 요리이다. 맛이 심심하지 않게 굴소스가 딸려 나온...
최근 홍콩 외식 문화가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지난주 6월 22일 새로운 한국 레스토랑 "더 포치"가 문을 열었다. 영어 포치(The Porch)는 건물 출입구 앞에 위치한 지붕이나 덮여진 부분을 뜻하는데, 전통적인 한국의 마당에서 영감을 받아 이름을 지었다. 마당은 잔치날에 음식도 만들고 손님도 맞이하며 이웃들이 서로 어울리는 공간이다. 포치는 손님들이 진정한 한국의 맛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태어났다. "더 포치"는 인위적인 컨셉이나 과도한 큐레이션 없이, 손님들이 함께 나누며 즐길 수 있는 음식을 제공...
학원의 한국어 수업 시간이었다. 한 홍콩 수강생이 타이쿠싱의 그랜드 쿠진 상하이 키친(Grand Cuisine Shanghai Kitchen)에서 식사를 할 예정인데, 요리를 추천해 달라고 했다. 내가 예전에 살던 아파트가 바로 옆이었다는 것을 알고 한 질문이었다. 그 중식당은 가성비가 좋고 음식도 맛있어 한국 교민들도 자주 찾는 곳이다. 홍여우차오셔우(紅油抄手:일명 매운 만두), 꽁빠오지딩(宮保鷄丁:닭고기, 견과류, 고추를 같이 볶은 요리), 짜장빤민엔(炸醬拌面: 한국의 짜장면과 비슷함) 등을 소개하자 모두 맵거나 한국인들이...
하나씩 공략해 보자~! 코코파크의 맛집들 약 20년 전 선전(深圳)에서 택시를 탔을 때는 기사에게 홍콩달러를 주면 무척이나 반겼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에는 홍콩 달러가 인민폐보다 환율이 좋았기 때문이다. 강산이 두 번 바뀐 지금은 홍콩달러건 인민폐건 현금 흐름 없이 이렇게 큐알 코드로 온라인 결제가 이루어진다. 코코파크(COCO PARK) 앞에서 내려 입구로 들어간다. 홍콩 교민이 선전에 가면 꼭 들른다는 코코파크. 첫인상은 서울의 코엑스몰 확장 버전 같은 느낌이었다. 가운데 야외 마당을 쇼핑몰이 둘러싸...
한국의 ‘장’과 ‘한우’를 활용한 요리 경연대회, 홍콩 시민들 큰 호응 주홍콩한국문화원(원장 최재원)은 지난 24일(토), 홍콩 International Culinary Institute에서 열린 ‘K-Food Master Chef in Hong Kong 2025’ 한식 경연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이한 이번 대회는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인 ‘장’(간장, 된장, 고추장)과 ‘한우’를 주재료로 활용한 요리 경연으로, 홍콩 시민들과 한국 음식문화를 공유하는 특별한 시간이었다. ...
중국 지방정부들이 재정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공무원들에게 접대비와 술, 담배 등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것을 통지했다. 또 공무차량 구입 시 신에너지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사용 연한이 지난 차량도 문제가 없으면 계속 타야 한다는 등의 각종 절약 수칙을 조례로 명문화했다. 19일 블룸버그통신과 중국 관영 환구시보 등에 따르면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은 개정된 '당정기관의 절약 실천 및 낭비 반대 조례'를 최근 발표하면서 각 지방과 부문에 철저한 이행을 당부했다. ...
홍콩 국제청년상회(Junior Chamber International Hong Kong)에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40% 이상의 국제 관광객이 홍콩 방문 시 자연 관광지를 주요 목적지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체는 35개국 및 지역의 300명 이상의 해외 여행자를 인터뷰하여 75개의 현지 관광 명소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했다. 관광지는 생태 관광지, 요리, 소매 및 여가 시설, 예술 및 문화 장소, 상징적인 랜드마크, 역사 및 유산 사이트 등 다섯 가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설문 조사 결과,...
홍콩에서 태국의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곳이 있다. 카우룬시티 사우스월로드(South Wall Road)에 있는 태국촌이다. 튄마선의 송웡토이 (Song Wong Toi)역 B3 출구로 나가 우측으로 몇 걸음이면 다다른다. 이 도로를 중심으로 태국 식당과 상점들이 줄지어 자리 잡고 있다. 비단 사우스월로드뿐만 아니라 주변 곳곳에 태국어 간판들이 보인다. 그 아래에는 태국의 음식, 과일, 분식, 향료, 수공예품 등이 진열되어 있다. 소위 ‘작은 태국’이라 부를 만하다. 태국인들이 카우룬시티에 정착한 이유는? 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