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비만치료제와는 다르게 효과는 더 좋고 부작용은 적은 비만치료제인 Saxenda, Wegovy 등이 굉장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그보다도 더 효과가 좋고 부작용이 적은 약이 나왔고, 또 개발 중이라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기존의 Saxenda 등은 식사 시 장에서 분비되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물질인 GLP-1와 유사한 물질로, 식욕을 억제했습니다. 그에 비해 Mounjaro는 GLP-1 수용체 뿐 아니라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포도당 대사를 개선하며, 체지방 감소와 에너지 소비 증진에 기여하는 GIP 수용체에도 동시에 작용합니다.
Tirzepatide는 GLP-1 수용체와 GIP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최초의 계열 약물로 개발되었습니다. 이중 작용 메커니즘 덕분에 인슐린 분비 촉진, 혈당 억제뿐 아니라 체중 감량 효과도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임상시험에서 기존 GLP-1 계열 대표주자인 Wegovy 보다 더 높은 체중 감소 효과를 보여,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습니다.
새로운 제품의 출현으로 시장경쟁이 치열해진 데다 일부 국가에서는 Saxenda 등의 특허기간 만료가 다가와 복제약(제네릭) 출시를 준비하고 있어 세계 비만 환자들이 더 저렴하고 더 쉽게 약을 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제약사 Eli Lilly가 1주일에 한 번 주사하던 비만약을 넘어, 1일 1회 먹는 제형의 비만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청(FDA)이 orforglipron을 허가할 경우, 릴리가 향후 비만 치료제 시장의 판도를 바꿀 전망입니다.
Orforglipron은 하루에 한 번 먹는 경구용 소분자 GLP-1 수용체 작용제로, 음식과 물 섭취 제한 없이 하루 중 언제든지 복용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먹는 Wegovy, Mounjaro로, 주사에 거부감을 느끼는 다수의 환자도 매우 편리하게 약을 먹을 수 있게 됩니다.
그 외에도 국내의 일동제약 자회사 유노비아, 디엔디파마텍 등에서도 경구용 비만 신약을 개발하며 순조롭게 임상시험을 진행 중입니다.
비만은 온갖 성인병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의 3대 성인병은 물론, 체내의 각종 염증, 정신적인 우울증 및 무력감 등으로 수명 단축은 물론이고 삶의 질을 저하하는 주범입니다.
현대사회의 풍부한 식이 환경과 생활패턴에 따라 비만 환자가 많습니다. 어느 날 그런 자신을 발견하고 다이어트를 시도하려 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 좌절하는 경우를 모두 한 번쯤 겪어 봅니다.
물론 모든 의약품은 부작용 가능성이 있습니다. 비만치료제의 경우는 오심, 구토, 더부룩함, 설사, 변비, 무기력증 등이 오는 경우가 많고 아주 드물게 췌장염 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비만으로 인한 해악에 따른 기회비용을 생각한다고 의약품의 이점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홍콩에서도 수많은 클리닉에서 각종 비만치료제를 절찬리에 취급하고 있습니다. 결국 식사와 생활패턴을 관리하는 것은 본인의 몫이지만 비만으로 인해 질환을 걱정하고 있고 통제할 수 없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아 보시길 권합니다.
#비만 #다이어트 #위고비 #마운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