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홍콩의 무형 문화제에 등록되어 있는 4대 전통 춤을 소개한다. 이들은 축하를 위한 주요 행사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여 복을 기원하고 흥을 돋워준다.
사자춤하면 떠오르는 홍콩 영화가 있다. 서극 감독, 이연걸 주연의 황비홍 시리즈 중 3편인 ‘황비홍-사왕쟁패(黃飛鴻之三獅王爭覇: Once Upon A Time In China III)’이다. 여기서 ‘사왕’은 사자왕을 말하는데, 사자춤을 추며 무예를 겨루는 장면이 화면을 채운다.
사자춤은 홍콩을 포함한 중화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연이다. 머리와 몸통의 두 부분으로 나누며, 두 명이 탈 안에서 조종하며 춤을 춘다. 명절, 혼인, 제사, 신장 개업 등 주요 행사가 있을 때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신에게 기원하는 바를 전달하는 동시에 좋은 일에는 더욱 흥을 돋우고, 나쁜 일에는 슬픔을 잠재우기 위해 사자춤을 춘다.
사자춤이 홍콩에서 유행하게 된 것은 1940년대이다. 중국의 많은 무예인들이 대거 홍콩에 몰려든다. 이들은 각지에 도장을 열어 제자들에게 무예를 가르친다. 이때 사자춤도 함께 발전을 이뤄나간다.
홍콩의 사자춤에 관한 흥미로운 역사도 있다. 도장마다 사자 및 용춤을 추는 구성원들은 경쟁이 치열하였다. 이로 인해 무도관들끼리 종종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곤 하였다. 조폭들은 개업하는 상점을 찾아가 사자춤 공연을 구실로 돈을 뜯어내는 일도 잦았다. 결국 홍콩 정부는 1950~60년대 한시적으로 사자춤을 금지시킨다.
하나 1970~80년대에는 쿵푸의 열풍이 사자춤의 성행도 함께 가져온다. 정부는 경찰에 허가증 신청을 통해 누구나 공중 장소에서 사자춤 및 용춤 공연을 할 수 있는 법령을 발표한다. 1980년대의 일이다.
용의 탈은 머리와 몸통, 꼬리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세 부분은 대나무 막대기로 받치며 움직인다. 용의 길이는 보통 10미터에 달해 건장한 청년들 수백 명이 공연에 참가한다. 신계 지역에서 향촌 및 종친 행사 등 경축일에 용춤이 등장한다. 용춤을 통해 평안함과 복을 기원하며, 바람과 비 등 자연의 조화로움도 함께 빈다.
자고이래로 중국에서 용은 황실과 민간의 숭배 대상이었다. 중국 황권의 상징이었고 백성들은 자신을 용의 후예라 여겼다. 빅토리아 여왕의 아들인 에드워드 7세의 즉위식, 영국 여왕의 홍콩 방문 때 용춤이 등장하였다. 홍콩인들은 결혼 25주년인 은혼식에서도 용무를 벌인다.
용춤도 사자춤과 함께 1950~60년대에 일시 금지되었다가 1980년대 법령을 통해 재개되었다. 추석 때 펼쳐지는 타이항과 폭푸람 지역의 화이어 드래곤 댄스(Fire Dragon Dance)가 유명하다. 이들 두 지역의 행사는 별도로 홍콩의 무형 문화재에 등록되어 있다.
비휴(貔貅)는 중국 전설 속의 상서로운 괴수이다. 재물을 가져오며 집의 악귀를 몰아낸다고 알려져 있다. 비휴탈의 길이는 12척 (3.6미터)이며 두 사람이 들어간다. 사람을 두려움에 떨게하며 용맹스러운 형상을 지녔다.
비휴춤(Pi Xiu Dance)은 생소한지라 유튜브에 들어가 동영상을 봤다. 사자춤 및 용춤과 비슷한데 탈의 머리에 뿔이 달려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머리와 몸으로 나뉘어 두 사람이 들어가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방식은 사자춤과 같다. 신의 탄신일, 카지노 및 마작을 즐기는 장소인 마작관의 개장 행사 때 비휴춤을 볼 수 있다. 카지노와 마작에 등장하는 이유는 비휴가 ‘적 세 명을 죽이고, 들어오는 것은 있으나 나가는 것은 없는(大殺三方,有入無出)’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비휴춤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단, 홍콩에서 공식적으로 선을 보인 것은 1972년 구룡 동산촌이었다. 이후 쳥차우, 사이쿵, 상수이 등 홍콩 내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가게 되었다.
비휴춤은 합구(合口)와 개구(開口)의 두가지 형태로 나뉘어진다. 말 그대로 각각 ‘닫힌 입’과 ‘열린 입’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합구의 비휴춤은 공공장소에서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개구 형태의 공연은 식당, 무도관, 마작관, 카지노에서 행해진다.
여기서 말하는 기린(麒麟, Qilin)은 아프리카에 사는 목 긴 동물이 아니다. 전설속의 기린은 영험한 괴수이다. 용의 머리와 사슴의 몸, 말발굽과 소꼬리, 늑대의 이마로 이루어져 있다. 몸통은 다섯 색깔의 비늘을 지닌 모습을 보인다. 전설속의 기린은 길함의 상징으로, 재난을 막아주며 운을 트이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기린춤도 유튜브로 동영상 몇 개를 찾아보았다. 동영상에 등장하는 탈의 모습은 각기 달랐지만, 얼굴의 형태가 입체적이라는 공통점을 지녔다.
기린의 탈 또한 머리와 몸으로 구성되며 각각 한 명씩 아래에서 조종한다. 명절, 혼례와 같은 경축일에 등장하는 것도 위에서 소개한 다른 전통춤과 같다. 단, 홍콩에서는 현지식과 객가족, 학로족들이 추는 세가지 춤의 형태가 존재한다.
기린춤은 홍콩의 대표적 지역 축제인 청차우 섬 빵 축제 행사에서 볼 수 있다. 민간에서 기린은 바람을 온화하게 하며 비를 다스린다고 전해지는 바, 어업에 종사하는 섬 사람들에게 환영받기 때문이다.
< 참고 자료 >
非物質文化遺産辦事處, 非物質文化遺産資料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