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창표 코트라홍콩 관장 기고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창표 코트라홍콩 관장 기고문

차기 행정장관 선거, 홍콩의 선택과 우리의 대응

코트라정보 2017-3-22

 

홍창표 코트라홍콩 관장 기고문

 

차기 행정장관 선거, 홍콩의 선택과 우리의 대응

 

홍콩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화려한 야경과 함께 ‘팔색조’ 음식으로 상징되는 관광지로서의 모습이 아닐까. 홍콩 면적은 서울의 1.8배에 불과하지만, 지난해 홍콩을 찾은 관광객 수는 6천만 명을 훌쩍 넘겼다. 한국방문 외국인 관광객 수가 1,700만 명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대단한 수치다. 하지만 23년 연속으로 미국 헤리티지 재단에서 선정하는 세계에서 가장 자유로운 경제권으로 홍콩이 선정되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각종 평가지표 가운데 정부재정 건전도 항목에서 100점 만점을 받은 것을 비롯하여, 비즈니스 자유도, 조세부담, 재산권 등 모두 7개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쯤 되면 홍콩은 관광지로서 뿐만 아니라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로서의 위상도 도드라져 보인다. 그러나 내면을 들여다보면 상황은 달라진다. 1조 달러에 육박하는 막대한 정부 재정보유액은 지표상으로는 만점을 받았지만, 역으로 생각하면 지난 수년간 홍콩 정부가 보건복지나 교육문제 등에 제대로 재정을 쓰지 않고 곳간에 쌓아만 왔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그 덕분에 빈부격차가 더욱 심해졌다는 비난의 목소리도 들린다. 만약 경제 불평등 부문이 평가항목에 있었다면 홍콩은 여기서 1등을 차지했을 것이라는 비아냥거림이 나오는 이유다.

 

홍콩이 국제적인 금융중심지라는 세간의 평가 역시 살아보니 차이가 있다. 물론 기업금융 측면에서는 홍콩이 가진 위상과 역할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생각이 없다. 그러나 개인금융으로 눈을 돌리면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특히 중국 본토에 다년간 근무한 필자의 경험으로 볼 때 홍콩은 중국보다 여러 면에서 한참 뒤진다.

 

우선 홍콩은 중국처럼 모바일결제나 핀테크가 발달한 것도 아니고 한국처럼 인터넷 뱅킹이 보편적인 것도 아니다. 직불카드 자체가 없고 은행간 계좌이체에 수수료도 많이 들어가다 보니 큰 금액의 지불은 개인수표를 발행해 처리하고 소소한 금액은 현금이나 우리의 티머니같은 옥토퍼스 카드를 이용한다.

과거 중국은 그 어느 나라보다 금융시스템이 낙후되었지만, 지금은 전 세계에서 가장 핀테크가 발달하고 잘 활용하는 나라로 변모했다. 7억 명의 인터넷 이용자, 그리고 13억 모바일 가입자는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을 통째로 변화시키고 있다. 내륙과 산간벽지에 이르기까지 휴대폰만 있으면 통신에서부터 인터넷과 개인금융까지 모두가 해결되는 나라가 되었다. 여기에 빅데이터와 공유경제 시스템이 빠르게 결합되면서 맞춤형 소비의 편리함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홍콩은 중국을 따라가려면 한참 멀었다. 국제 금융센터로서의 명성은 중국보다 훨씬 빨리 얻었지만, 이제는 오히려 중국이 두 걸음 앞서가고 있는 형국이다.

 

그동안 홍콩 경제발전의 한 축을 담당해왔던 MICE 산업 역시 위세가 예전만 못하다. 아시아 전시회 메카로서의 명성은 하나둘씩 중국 본토에 빼앗기고 있고, 전체 관광객의 78%를 차지하는 중국 관광객이 홍콩 밖으로 눈을 돌리면서 유통업과 요식업계를 중심으로 매출부진에 울상이다. 물류센터로서의 기능 역시 상하이, 선전 등 중국 항구도시에 자리를 내주고 있는 상황이다. 2003년만 하더라도 홍콩은 물동량 기준 세계 1위 항구였으나 2015년 5위로 추락했다. 같은 기간 상하이는 3위에서 1위로, 선전(深圳)은 4위에서 3위로 각각 올라선 것을 감안하면 격세지감을 느낄 정도다.

 

오는 3월 26일은 홍콩 행정장관 선거가 있는 날이다. 캐리 람, 짱춘와, 우쿽힝 등 3명이 출사표를 던졌다. 3파전 양상이지만, 누가 되더라도 현재 홍콩경제가 당면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 정책을 강도높게 추진해야 한다는 무거운 숙제가 주어진다. 저성장 국면이 지속되면서 홍콩정부의 경제정책 또한 기존의 시장불간섭 기조에서 벗어나 위안화 역외시장 중심지 육성과 문화, 의료, IT 등 6대 전략산업 추진 등 적극적 개입으로 바뀌고 있다.

 

지난 2월말 발표된 올해 홍콩정부 예산안을 보면, 교육과 사회복지 분야에 경상경비의 60%를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의료분야 및 노인복지에 대한 정부지원이 확대됨에 따라 각종 실버용품과 스마트 의료정보시스템, 유기농 및 친환경 식품 등에 대한 시장이 커질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핀테크를 중심으로 하는 IT산업 육성에도 많은 예산을 배정했다. 아울러 ‘Re-Industrialization'을 선언하며 중국 선전시와의 공동 투자를 통해 대규모 첨단 기술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청사진도 발표했다. 그동안 아날로그적인 산업으로 발전해온 홍콩이 디지털 산업도시로 이미지 변신을 하겠다는 복안이다. 

 

금년은 홍콩이 중국으로 반환된 지 20주년이 되는 해다. 새로운 홍콩 행정수반의 출범과 함께 홍콩경제 전반에 걸쳐 적지 않은 변화와 혁신의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춰 우리 기업이 홍콩을 보는 시각도 달라져야 한다. 과거와 같은 금융, 무역, 물류, 중계무역 중심지로서가 아니라 고도화된 혁신 첨단산업 중심지로 봐야 제대로 볼 수 있다. 급변하는 변화의 바람을 읽고 발빠른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광휘일신(光輝日新)’의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KOTRA 홍콩무역관 홍창표 관장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