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산책] 이 주간의 세계역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사산책] 이 주간의 세계역사

[[1]] 1978년 1월 14일 영화배우 최은희 홍콩서 북한에 납치 합작영화 '양귀비'의 출연교섭을 위해 1978년 1월 11일 홍콩에 갔던 여배우 최은희가 1978년 1월 14일 현지서 납치돼 북한으로 보내졌다. 홍콩과 국내 수사기관은 북한지령을 받은 홍콩 거주 이상희 여인과 이 여인의 사주를 받은 교포 김규화 및 중국인 왕진일 등의 음모에 의한 납치로 추정, 김규화를 반공법과 여권법 위반혐의로 구속하고 실형을 선고했다. 최은희의 납북 사실은 후에 알려졌는데 그는 화물선을 타고 북한에 보내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도착한남포항에는 김정일이 직접 마중나온 것으로 알려져 그에 대한 김정일의 관심을 엿볼 수 있었다. 남편 신상옥씨도 같은해 7월 19일 홍콩에서 납북됐다. 영화광으로 알려진 김정일은 두 사람에게 낙후된 북한 영화를 활성화 해줄것을 요구했으며, 두 사람은 '탈출기','소금' 등 7편의 영화를 제작하여 왕성한 활동을 펼쳤고, 최은희는1985년 모스크바 영화제에서 '소금'으로 여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공산권의 각종 영화제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자 김정일은 두 사람에게 특별히 동구권 여행을 허락했고, 두 사람은 납북 8년 2개월 만인 1986년 3월 13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극적으로 서방세계로 탈출했다. 1903년 1월 13일 최초의 한인 이민선 '갤릭호' 하와이 호놀룰루 도착 최초의 한인 이민선 '갤릭(Gaelic)호'가 102명의 한인 이민들을 태우고 1903년 1월 13일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했다. 이로써 미주를 향한 한인 이민이 시작됐다. 일본의 제지로 이민이 중단된 1905년까지 총 7,226명의 한인들이 하와이로 갔고, 그 사이 이민선 132편이 태평양을 오갔다. 하와이 이민의 배경은 조선왕조 말기의 혼란과, 1901년 함경도 지역을 휩쓴 가뭄과 홍수였다. 많은 사람들이 식량과 일거리를 찾아 멀리 시베리아나 만주로, 또는 서울 인천 원산 등 대도시로 이주했다. 마침 1830년대부터 노동집약적 사탕수수 농업을 시작한 하와이에서도 이 무렵 값싼 노동력이 필요해졌다. 이미 받아들인 중국인 일본인 노동자들의 규모가 커지고 노동쟁의가 발생하자, 그 해결책으로 한국 필리핀 포르투갈에서 노동자를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이다. 이들 전에도 일본인을 통해 하와이로 팔려간 한인들이 일부 있었지만 갤릭호의 하와이 이민을 첫 이민으로 간주하는 것은, 대한제국이 '수민원'이란 담당기관을 설립해 처음 추진한 공식 인력송출이기 때문이다. 121명의 이민자가 제물포항을 출항한 것은 3주 전인 1902년 12월 22일이었다. 출항할때 탄 배는 일본 오사카 상선 '겐카이호'였으며, 일본 고베에 도착하여 신체 검사를 받아 이민자들 가운데 20명이 탈락하고 배도 캘릭호로 갈아탔다. 호놀룰루에 도착해서도 신체검사를 받아 부적격 판정을 받은 15명이 제물포항으로 되돌아가 남자 48명, 여자 16명, 어린이 28명 등 86명만이 하와이에 발을 내딛을 수 있었다. 당시 3년간 일하는 조건으로 하루 품삯은 50~80센트(쌀 10kg이 1달러)였지만 노동 강도가 심해서 고생이 말이 아니었다. 초기 이민자 중 84%가 20대 남자였고, 이들의 결혼 문제가 큰 현안이었다. 결국 사진교환을 통해 결혼하는 '사진 신부'들이 1910년부터 하와이로 이민가게 된다. 1924년 미국 이민법에 의해 모든 형태의 한인 이민이 금지되기까지 총 1000명의 신부들이 하와이로 떠났다. 이들 첫 이민자들 가운데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1978년에 실시된 조사에서 파악된 이민 동기(動機)들은 참으로 다양했다. 하와이에 가면 빗자루로 땅을 쓸기만 해도 돈이 생긴다기에 그 돈으로 친정 식구들을 살리려고, 서자라고 설움받아서, 예수쟁이라고 놀림받는 것이 싫어서, 남자들 횡포 때문에, 시부모를 안 모실 것 같아서, 일본인의 압박을 참을 수 없어서, 자손들을 좋은 나라에 서 훌륭하게 교육시키고 싶어서 등으로 다양했다. 이렇게 시작된 한인의 미주이민이 2003년을 기해 100주년을 맞았다. 1863년 1월 10일 세계최초의 지하철 런던에서 개통 세계최초의 지하철이 영국 런던에서 1863년 1월 10일개통됐다. 팔링턴 스트리트와 비셥스 로드의 패딩턴을 잇는 6km 구간의 이 첫 지하철은 증기기관차였다. 자하철 상태는 매우 열악해 터널 천정은 지상도로에서 수인치 두께 밖에 안되었고 매연과 증기를 뽑아내기 위해 여기저기 통풍구가 뚫렸으며 때로는 가옥 밑을 통과하기도 했다. 패딩턴으로부터 팔링턴街까지 메트로폴리탄선 제1구역을 건설하는 데만 3년이 소요됐다. 그후 유럽 대륙에서 처음으로 지하철이 들어선 도시는 헝가리의 부다페스트(1896)였다. 뒤이어 1898년에는 오스트리아의 빈에, 1900년에는 프랑스의 파리에 그리고 1902년과 1906년에는 독일의 베를린과 함부르크에 차례로 지하철이 들어섰다. 미국에서는 1901년 보스턴에 첫 지하철이 생겼고 뉴욕 지하철은 1904년 개통됐다. 아시아에서는 1927년 일본 동경에 첫 지하철이 개통됐다.한국은 1974년 8월 15일 개통됐다. 홍콩 중국을 알려주는 주간소식지 홍콩수요저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