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피부 미용기기, 개인 소비자 시장으로 진입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콩 피부 미용기기, 개인 소비자 시장으로 진입

-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 관리에 관심 고조 , 다양한 기기가 가격대별로 확장 전망 -


□ 피부 미용기기 시장 성장세
 
 ○ 건강한 피부에 관심 높아져
  - 홍콩 여성들의 미에 대한 관점은 최근 건강미로 옮겨감. 이에 희고 깨끗한 건강한 피부 관리가 점점 중요시됨에 따라 기존에는 일부에 국한되던 스킨케어 시술이 점점 보편화됨. 뷰티살롱에서는 주로 피지제거, 필링, 피부재생, 주름개선 등의 시술이 인기이며 최근에는 영구 제모 역시 점점 인기를 누림.
 
 ○ 남녀 시장 모두 유망
  - 홍콩 여성들의 사회참여도와 경제적 능력이 높은 점과 미용에 대한 관심 증대는 스킨케어 시술 시장 발달에 적합한 조건임. 아울러 최근 수년간 남성들의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 남성용 스킨케어도 전문화됨.
 
 ○ 기존 시장 중국산이 점식
  - 살롱에서 피부 미용 시술이 증가하지만 한국산 기기의 수입량은 줄어듦. 이는 중국산 기술 향상에 따른 중국산 사용 증가에 주로 기인함(첨단기술제품 제외).
  ¬ 한국산의 수입은 2009년 대폭 증가했으나 2010년 이후 감소세로 2010, 2011, 2012(1~4월)년 기간 중 -48.2%, -28.5%, -35.1% 증감률을 보임.
 
 ○ 인기 신기술 가진 개인용 미용기기 유망
  - 최근 미용기기 소비층이 살론에서 개인으로 확대됨에 따라 인기 신기술을 가진 개인용 미용기기가 유망함.
  - 유통체인 봉주르는 한국산 RF(고주파)기를 수입, 유명배우(관지림)를 모델로 기용하는 등 전격 마케팅을 통해 프로모션함.
  - 해당 기기는 얼굴과 목 등의 라인을 관리하는 제품으로 할인 후 가격이 약 7000홍콩달러(약 105만 원)의 고가임에도 인기리에 판매됨.
  - 단, 소비자가 직접 기계를 사용하게 되므로 품질이 보장돼야 하며 사용법 역시 간단해야 함.  

 
봉주르의 제품소개 화면
▲ 자료: www.bonjourhk.com

 
□ 수입동향과 정책
 
 ○ 홍콩의 피부미용기기(HS8543군 - 85437000, 85439000, 85433000, 85431000) 수입은 2009, 2010, 2011년 기간 중 각각 4.5%,22.0%, 16.5%의 증가세를 보였음.   
 
 
 ○ 홍콩은 자유무역항으로 미용기기와 같은 일반 수입 상품에 대해 관세가 없으며 부가세, 소비세 등 추가세금도 없음.(중국 본토와는 전혀 다른 관세법 적용) 단, 담배, 주류(30도 이상), 메틸알코올, 탄화수소에 대해서는 물품세 성격의 관세 부과
 
 ○ 현재 미용기기에 별도로 적용되는 통관 관련 사항이나 제품 인증은 없다고 봐야 함. 이는 같은 기계라도 수입 용도가 ‘의료’가 아닌 ‘미용’일 경우 다른 잣대가 적용되기 때문임.
 
□ 유통구조
 
 ○ 유력 유통 체인  
  - 화장품 종합매장과 드러그스토어(기본 의약품 및 뷰티 제품 취급) 유통업체 상위 4개사는 사사(화장품 종합 유통매장), 매닝스(드러그 스토어), 왓슨스(드러그 스토어), 봉주르임(화장품 종합 유통매장).
  - 이들은 건강미용제품 소매유통체인 분야에서 각각 12.5%, 12.4%, 8.3%, 7.0%를 차지함. 참고로 홍콩은 뷰티 소매유통망이 체인 스토어 위주로 발달돼 도매상이 개인 화장품 매장에 디스트리뷰터 역할을 하는 한국과는 달리 개인이 운영하는 소매 종합 화장품 매장은 극소수임.
  - 매닝스, 왓슨스, 사사, 봉주르의 홍콩 내 매장수는 각각 350개, 176개, 79개, 41개이며, 판매 공간은 각각 6만4300sqft, 3만7700sqft, 1만3500sqft, 7400sqft 임. 후발 주자인 칼라믹스는 매장수가 49개 달하며 시장 점유율은 낮은 편이나 해외 신상품 등으로 소비자를 확보해 감.
  - 2011년 기간 중 건강미용제품 종합유통매장은 경제 회복과 중국 관광객의 소비력을 바탕으로 12% 대폭 성장해 시장규모(판매액)는 350억 홍콩달러에 달했으며 매장수 역시 3% 증가했음.
 
 ○ 벤더 활용도
  - 상품 특성상 유통매장의 마진이 적거나 히트 가능성이 아주 높지 않을 경우 유통업체들이 거래하는 벤더를 통해 구매하기도 함.
  - 벤더를 통할경우 유통업체가 직접 구매를 하지 않아도 돼 자금 부담이 적고 소량을 융통성 있게 판매할 수 있기 때문임. 경우에 따라서는 유통매장에 직접 컨택을 해도 벤더를 통한 입점을 권하기도 함.
 
   
□ 참고 사항  
 
 ○ 가격대 다양화
  - 봉주르의 경우 고가 라인 한국산 RF기기에 이어 최근 저가라인으로 소형의 퍼밍 기기를 출시했음. 해당 제품은 6000홍콩달러 수준의 선발 제품과는 달리 700홍콩달러 대의 저가 소형 기기로 본격적 여름 시작과 함께 인기리에 판매 중임.   
 
 ○ 한국산 품질 신뢰 높아
  - 한국산 소형 미용기기는 기능성이 크고 고장이 없으며 품질과 디자인이 우수한 것으로 인식됨. 봉주르가 고가의 RF 기기를 벤더를 통하지 않고 직접 구매해 투자와 프로모션한 것 역시 품질에 대한 신뢰가 바탕이 됨.
 
 ○ 전시회 적극 활용
  - 2012년 참가 가능한 홍콩 내 뷰티용품 관련 국제규모 전시회는 Cosmoprof Asia(11.14~11.16. 개최. www.cosmoprof-asia.com)가 있음.
  - 해당 전시회는 6만8000sqft규모에 42개국의 1780여 개사가 전시하는 대형 전시회로 25개 국가관이 설치되며 방문객은 4만8500명에 달해 세계 각국의 바이어를 접촉할 수 있는 효율적 마케팅툴임.
    
 
자료원: 홍콩언론종합, 바이어접촉, 코트라 홍콩 무역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