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중국인 신규주택 취득제한… 내년초 분양 1100가구 대상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콩, 중국인 신규주택 취득제한… 내년초 분양 1100가구 대상




홍콩 정부가 집값 안정을 위해 일부 아파트단지에 처음으로 중국인을 주대상으로 한 외국인 매입 금지 조치를 내놓았다.

6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홍콩 정부는 까우룽시티와 동부 등 두 지역에서 내년 초 분양하는 1100가구 규모 아파트에 처음으로 외국인 주택 취득 금지를 적용한다.

홍콩의 행정수반인 렁춘잉 행정장관은 5일 "내년에 분양할 아파트들은 홍콩에 거주하면서 구입 후 30년 동안 아파트를 보유할 수 있는 이들에게만 허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은 지난해부터 외국인 담보대출을 제한하는 등 외국인 투기에 대한 제재를 시행해왔다. 그러나 이 같은 직접적인 주택 매입 규제는 처음이다.

이는 렁춘잉 장관이 지난달 30일 주택 가격을 낮추기 위해 전격 발표한 10개항 정책의 세부사항으로 해석된다.

렁춘잉 장관은 지난달 30일 과열된 홍콩 부동산 시장을 냉각시키기 위해 민간 아파트 6만5000채와 정부 임대 아파트 7만5000채 등을 건설해 주택 공급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국인 주택 취득 금지는 이렇게 공급되는 새 주택들을 외국인들의 투기 대상으로 두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홍콩 정부가 국제적인 자유도시라는 이미지를 훼손해가면서까지 외국인 주택매입 금지조치를 내놓은 것은 집값이 끝없이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본토 투자자들은 홍콩 새 주택의 3분의 1가량을 사들이고 있다.

이 때문에 홍콩 부동산 가격은 2009년 초반과 비교해 85%나 뛰어올랐다. 또 최근 홍콩의 주택용지는 런던과 뉴욕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주택 취득 금지가 강력한 정책이긴 하지만 적용 지역이 제한돼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알프레드 라우 보콤인터내셔널홀딩스 애널리스트는 "두 지역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주택시장 전체에 주는 영향은 미미할 수 있다"며 "실구매자들인 중산층이 이득을 보는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렁춘잉 장관이 경제적으로 친서민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홍콩 내 국민교육을 둘러싸고는 시민들의 큰 반발을 사고 있다.

그는 국민교육에 반발하는 시위가 이어지자 러시아에서 열리는 아시아ㆍ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포기했다.

홍콩 정부는 9월부터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국민교육을 시범 과목으로 도입했다.

그러나 일부 학부모와 교사단체가 국민교육 과목을 두고 중국 공산당의 가치관을 가르치려는 `정치 세뇌` 우려가 있다며 도입에 반대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