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놓은 공무원 조기퇴직안이 추진되면 17만 8천명에 이르는 홍콩공무원 중 조기퇴직대상자 절반 이상이 퇴직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매해 24억 홍콩달러의 정부지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재정적자가 700억 홍콩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홍콩정부는 향후 5년내 공무원수를 16만 명까지 줄이겠다고 발표한바 있으며 이는 재정적자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번에 조기퇴직을 신청하는 공무원은 근무연한 2년차마다 1개월 급여를 더해 최고 14개월치의 월급에 연금을 더해 받게 된다. 지난 2000년 대규모 조기퇴직시에는 근무연한 2년차마다 1개월 급여를 산정해 최고 20개월치 급여에 9개월분의 급여를 더해 연금과 함께 받았었다.
이 번 퇴직으로 공석이 되는 자리는 향후 5년간 채워지지 않는다. 행정부 관료와 경험 많은 서비스공무원들이 조기퇴직자에 포함될 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지난 2000년에는 조기퇴직 대상자 7만명 중 총 9천800명이 퇴직했었다. 이번 조기퇴직안은 조건이 다소 불리해 이전보다 적은 사람이 퇴직을 신청할 것으로 보이는데 정부는 대상자 10만명 중 약 7퍼센트가 조기퇴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에 만약 7천명이 자발적으로 퇴직하게 되면, 향후 4년간 자연적으로 퇴직연령에 달하는 8천500명과 다른 여러 가지 이유로 직장을 떠날 4천여 명을 포함해 총1만9천500여명의 공무원이 줄어들게 되는 셈이다.
이에 대해 공무원 노조는 이번 조기퇴직안이 별로 매력적인 조건이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면서 정부가 내놓은 조기퇴직안의 반응이 신통치 않을 경우, 공무원수를 반드시 줄여야 하는 난관에 봉착한 정부가 강제해고를 단행할지도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