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임명 특임공관장 30여명 전격 교체… “2주 내 귀국하라”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석열 임명 특임공관장 30여명 전격 교체… “2주 내 귀국하라”


윤석열 임명 특임공관장 30여명 전격 교체.jpg


"2주 내에 이임 준비하고 귀국하라"


이재명 정부가 출범과 동시에 과거 윤석열 정부가 임명한 주요 외교 공관장들을 대거 교체하며 외교 정책 대전환의 신호탄을 쐈다.


외교부는 지난 6월 27일, 미국·중국·일본·러시아·유엔 등 5강 대사를 포함한 주요국 주재 특임공관장 30여 명에게 "2주 이내 이임 준비를 마치고 귀국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번 지시는 장관급 예우를 받는 대사들을 포함해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단행돼, 외교가 안팎에서 “사실상 정권 색깔 지우기이자 대외 신뢰 회복을 위한 초강수”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귀임 지시를 받은 인사에는 조현동 주미대사, 박철희 주일대사, 이도훈 주러시아대사, 황준국 주유엔대사 등이 포함됐다. 이외에도 윤여철 주영국대사, 문승현 주프랑스대사 등도 같은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재호 전 주중대사는 이미 연초에 귀국해 명단에서는 제외됐다.


외교부 관계자는 “정년이 임박했거나 정무형 특임공관장 전원이 교체 대상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사실상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특임 대사는 대부분 교체 수순을 밟게 된 것이다.


외교부 장관 후보자인 조현 전 1차관의 인사청문회 일정도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먼저 공관장 귀임 지시가 내려진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다. 이에 대해 외교부 이재웅 대변인은 “정권 교체 직후 재외공관장에 대한 재신임 절차는 관례"라고  설명했다.


임무 종료 시한이 ‘2주’로 촉박하게 주어지면서 각국 대사관은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주요국 주재 대사들은 귀임 전까지 주재국 정부 및 의회, 주요 인사들과 고별 인사를 해야 하는 등 일정이 빽빽한 상황이다. 특히 미국, 일본, 러시아, 유엔 등 복잡한 외교 네트워크를 관리해온 대사관들은 실무 부담이 만만치 않다.


문재인 정부 시절에도 정권 출범 직후 재외공관장 일괄 사표 제출 사례가 있었지만, 이번처럼 외교부 장관 인준 이전에 귀국 지시가 먼저 내려온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당시에도 교체 절차는 강경화 장관 임명 이후 본격화됐다.


이번 조치가 “비상계엄 사태로 흔들린 외교 신뢰를 조기에 복원하려는 이재명 정부의 의지의 표현”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재외동포신문)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