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③ 체험과 모험, Z세대 여행의 새로운 기준이 되다 소비 과정에서 감정과 가치를 중요한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여기는 Z세대는 중국의 여행시장에서도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2024년 노동절 연휴 중국 국내 여행객 중 Z세대가 차지하는비율은 무려 40%에 육박했다. 중국의 SNS 샤오홍슈에는 세계여행이 태그된 게시물이 무려 650만 건에 육박했고 조회수는 총 14억 회가 넘어갔다. Z세대에게 여행은 사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고, 낯선 곳에서 뜻깊은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로 소비를 아끼지않는 분야로 자리잡...
중국 국가통계국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소매판매액은 전년 대비 약 3.5% 증가했으며, 최근 몇 년 소매 판매증가율은 3% 내외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과거두 자릿수 성장을 이룩하던 시기와 비교해, 현재를 내수 침체 및회복이 더딘 상황으로 평가하는 부정적인 관점도 존재하는 것이사실이다. 그러나 국가통계국 부국장 청라이윈(盛来运)의 7월 기자회견을 통해 알 수 있듯 올해 중국의 상반기 사회 소비재 소매총액이 24조6000억 위안에 달했으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가율도 분기별로 ...
시장 규모 및 동향 Euromonitor에 따르면, 홍콩 콘택트렌즈 시장 규모는 2020년1억143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해 2023년에는 1억558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에는 1억57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0.83% 성장했고, 2025년에는 1억5930만 달러로소폭 성장하며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홍콩 콘택트렌즈 시장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약 0.4%의 성장률(CAGR)을 기록하며, 2030년에는 시장 규모가 1억626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
시장 규모 및 동향 Euromonitor에 따르면, 홍콩 립스틱 시장 규모는 2019년2390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코로나 이후 립스틱 수요가 급감하면서2020년에는 770만 달러로 급격히 감소했다. 이후시장은 2021년 720만 달러로 소폭 감소한 후 2022년 590만 달러까지 감소했으나, 2023년 66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반등했다.2024년에는 7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7.6% 성장하며 회복세를보였다. 향후 홍콩 립스틱 시장은 2025년부터 연평균 약 1.0%의성장률을 기록하며 점진적으로...
시장 규모 및 동향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4년 홍콩 선크림 시장 규모는 3930만 달러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2029년에는 488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코로나 발생 이후 홍콩 사람들이 야외 활동과 해외 여행을 줄이면서 선크림 수요도 감소했다. 이에 따라 홍콩 선크림 시장 규모는2019년 5450만 달러에서 2022년 3110만 달러로 지속적으로감소했다. 그러나 2023년 홍콩이 코로나19 정상화에 접어들면서야외 활동과 해외 여행을 즐기는 사람...
홍콩 정부, 핀테크 산업 지원 노력 강화 홍콩 소재 주요 핀테크 기업 예시 홍콩에는 국경 간 결제, 은행업, 보험, 자산 관리 등을 포함한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는 많은 핀테크 기업들이 있다. 아래는 홍콩에서 가장 유망하고 빠르게 성장하는 핀테크 기업들이다. 홍콩의 최근 금융 시장 및 분야별 핀테크 기업 현황 홍콩은 큰 규모의 금융 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B2B 핀테크혁신에 대한 높은 수요가 있다. SFC, HKMA와 Inves...
홍콩의 핀테크 산업 생태계 개관 홍콩투자청(Invest HK)이 2025년 3월에 발표한 The HongKong Fintech Ecosystem Report (March 2025) 보고에 따르면 ‘핀테크 기업’은 금융 산업에 관련된 금융 기술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정의된다. 핀테크 기업은 액셀러레이터및 혁신 랩(Accelerator & Innovation Lab), 블록체인 응용 프로그램/소프트웨어(Blockchain Application/Software), 컴플라이언스 및 레그테크(Comp...
전시회 현장 스케치 일부 참가업체는 제품 시연을 통해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기도했다. 중국 후난성(湖南省) 장가계시(張家界市)의 한 문화 경영 기업은 중국 소수민족인 토가족(土家族)의 직물을 전시했으며, 현장에서 토가족 직물 제작 과정을 직접 시연했다. 토가족 직물은 중국의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제품이다. 참가자 및 방문객들은 이를 직접 제작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토가족의 독특한 문화를 체험해 볼 수 있었다. 또 다른 중국의 주방용품 판매업체는 관람객들이제품을 직접 사용해볼 수 있도록 양방향의 인터랙티브 제품 시연을 ...
전시회 개요 ‘2025 홍콩 선물 및 기념품 전시회(2025 Hong Kong Gifts &Premium Fair, 이하 2025 HKGPF)’가 지난 4월 27일부터 30일까지 총 4일간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HKCEC)에서 개최됐다. HKGPF는 홍콩무역발전국(HKTDC)이 주최하는 세계적인 선물용품 전문 전시회 중의 하나로, 세계 각국의 프리미엄 선물용품, 라이프스타일 선물용품, 혁신적인 디자인을 가진 선물용품등을 바이어에게 선보...
4) SNS를 활용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효과적, 고령층도 예외 없어 Statista의 ‘Social Media Hong Kong’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의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2021년 670만 명에서 2024년 700만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또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의해 영향을 받은 소비자들이 일반 인터넷 사용자보다 해당 기업 제품에 대해더 높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소비자의 전자제품 구매에 대한 관심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도하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효과와 소셜 미디어 광고를 통...
2) 휴대용 소비자 전자제품의 인기는 지속 상승 코로나 기간에 정착한 새로운 근무 방식과 라이프스타일이 코로나 후에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gan McKinley 사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2024년에도 직원의 80% 가 하이브리드 또는 원격 근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하이브리드 또는 원격 근무를 선호함에 따 라 헤드폰, TWS(True Wireless Stereo) 이어버드, 무선 스피커에 대한 홍콩 소비자들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 전자 제품 시장 동향 Statista에 따르면, 소비자 전자(consumer electronics)는 개인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 가전제품 및 장비를 의미한다. 소비자 전자제품 시장은 개인용 컴퓨팅 장치,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 모바일 기기, 스마트 홈 제품 등 여러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있다. 아래 본문에서는 Euromonitor의 기준에 따라 소비자 전자제품을 △컴퓨터 및 주변 기기,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장비, △가정용 소비자 가전, △휴대용 소비자 가전 크게 4가지 카테고리로...
2) General Employment Policy(GEP) GEP 제도의 경우 비자 승인 인원이나 분야에 대한 별도 제한 이 없으며 홍콩 기업에서 취업을 확정한 경우 흔히 신청하는 제도이다. 2024년 1~9월 기준 GEP를 통해 비자를 취득한 인원은 총 2만6607명이었으며 이 중 교육 서비스에 종사하는 자는 총 2018명으로 전체 허가 인원 수의 약 8%를 차지했다. 3) Quality Migrant Admission Scheme(QMAS) 2024년 1~9월 기준, QMAS를 ...
최근 홍콩 취업시장 동향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9월 기준 홍콩 주요 산업 분야 내 결원율은 2.4%, 총 6만6457명의 결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7.6% 감소한 수준이다. 주요 산업 중 가 장 결원율이 높은 산업은 소셜 및 개인 서비스업(2만2374명)으 로 전체 결원 수의 33.7%를 차지했다. 이외에 ‘운송, 보관, 우편 및 택배 서비스, 정보 및 통신업’, ‘숙박 및 요식업’, ‘제조업’ 순으로 결원률이 높았다. 결원 감소율로 보면, ‘채광 및 채석, ...
부족한 MRO 서비스 공급 높은 서비스 수요 대비 MRO 서비스 공급 규모는 크지 않은것으로 분석된다. 홍콩 해사처에서 해운 및 항만 산업(Maritimeand port industry)을 해사 서비스(Maritime business services),항만 관련 서비스(Port and related), 해운 서비스(Shipping)세 가지 부문으로 구분하여 발표한 “2022년 해운 및 항만산업” 보고에 따르면, 해운 및 항만 산업 규모는 1146억 홍콩달러(약 21조 원)로 홍콩 전체 GDP의 4.2%를 차지...
가. 산업 특성 산업 환경 홍콩은 세계 10대 상품 무역지 중의 하나로, 효율적인 항만 시스템과 선주, 화주, 무역업체, 해운 서비스 제공 업체들을 기반으로 국제 무역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곳이다. 홍콩 해사처가 UNCTAD(유엔 무역개발협의회)의 자료를 인용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홍콩은 상하이, 싱가포르, 광저우, 부산 등에 이은 세계 10위의 물동량을 기록 중인 항구 도시이자 리베리아와 파남, 마셜 제도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선박 등록국이다. 2024년 6월 기준 홍콩...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의 소비 성장세는 전반적으로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총 소비 판매액은 약 3.5% 증가했으나, 이는 전년 대비 증가폭이 크지 않은 수준이다. 특히 소매 판매 증가율은 작년 2월 5.5%로 정점을 찍은 이후 줄곧 3% 내외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어 내수 회복이 더딘 상황이다. 여기에 저조한 취업률과 부동산 시장 침체 등 구조적 문제까지 겹치면서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있으며, 소비자 신뢰 지수 역시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
중국의 요식업은 도시화와 중산층 확대를 기반으로 성장세를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중국 요식업 시장의 진입 장벽이 낮아지고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업들은 차별화된 가치로 소비자 니즈를선점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는 단순한 트렌드 적응을넘어, 혁신과 전략적 현지화의 융합이 성패를 가르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의미한다. 차별화 전략은 중국 시장 진출에 있어 반드시고려돼야 할 중요한 과제다. 2024년 신흥 요식업 트렌드 ① 건강하게, 투명하게 2024년 중국 요식업 산업은 전환점을 맞이했으며,...
개요 중국-홍콩 CEPA(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는 중국 본토와 홍콩 간의 자유무역협정으로서 2003년 6월 9일에 최초 체결되었다. 두 지역 간의 경제 협력 및 통합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홍콩의 중국향 상품, 서비스무역 및 투자에 대한 우대 조건을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번 2차 서비스 무역협정 개정안은 홍콩 투자 기업(외투기업 포함)은 GBA(웨강아오 대만구) 시범도시 진출 시 홍콩 법률이 적용되고 중재 장소로 ...
2024년 홍콩의 대외무역 동향 홍콩의 2024년 상품 교역이 호조세를 보였다. 2025년 2월 홍콩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홍콩의 총 교역 규모는 1만 2134억 달러로, 2023년(1만 1311억 달러) 대비 약 7.3% 증가 했으며, 수출과 수입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8.7%와 6.0%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무역발전국(HKTDC)에서 수출기업들을 대상으로 조 사ㆍ발표 중인 수출신뢰지수(ECI, Export Confidence Index) 도 2024년 홍콩 수출 환경의 ...
중국 구매력 성장이 이끄는 패션산업 확대 중국 소득 수준 향상과 함께, 비필수품인 의류, 신발, 액세서리등 패션산업 시장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중국 패션산업 성장으로소비자들의 선택지가 늘어나며 중국 소비자들은 고품질의 독특한패션에 기꺼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자 한다. Frost & Sullivan(弗若斯特沙利文) 및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패션산업의 시장 규모는 지속 성장 중으로 2020~2025년까지의 예상 연평균 성장률(CAGR)은3.5%이며, 2025년에는 시장 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