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서울 도심 곳곳에서 홍콩의 감성과 예술이 펼쳐지는 특별한 축제 ‘홍콩위크 2025@서울(Hong Kong Week 2025@Seoul)’이 오는 9월 26일 공식 개막한다. 무용, 음악, 영화, 시각예술, 패션 등 다양한 장르의 문화 콘텐츠를 통해 홍콩의 예술성과 문화적 깊이를 서울 시민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홍콩특별행정구 정부 산하 레저문화서비스부(LCSD)가 주최하고, 홍콩관광청이 주관하는 ‘홍콩위크 2025@서울’은 서울과 홍콩의 문화 예술 교류를 강화하고자 기획됐다. 지난 7월 25일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개막한 전시 <우관중: 흑과 백 사이>를 시작으로, 공식 개막작인 홍콩발레단의 <로미오 + 줄리엣> 공연까지 총 14개 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공개된다.
이번 전시는 중국 현대미술의 거장 우관중의 작품 17점을 비롯해 AI 기반 미디어 설치작품까지 아우르며,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융복합 예술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공식 개막작으로는 9월 26일과 27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홍콩발레단이 선보이는 <로미오 + 줄리엣>이 무대에 오른다. 이 작품은 셰익스피어 고전을 1960년대 홍콩 사회로 재해석해, 쿵푸와 발레, 영화적 감수성이 어우러진 독창적인 연출로 기대를 모은다. 예술감독 셉팀 웨브레가 안무를 맡았으며, 이번 공연은 홍콩발레단의 첫 한국 무대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다.
공연 분야에서는 홍콩 차이니즈 오케스트라가 10월 11일 롯데콘서트홀에서 한국 전통음악과의 협업 무대를 선보이고, 10월 19일에는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홍콩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피아니스트 선우예권과 함께 차이콥스키와 진은숙의 작품을 연주한다. 상주 지휘자 리오 쿠오크만의 지휘 아래 펼쳐지는 이 무대는 클래식 팬들의 기대를 모은다.
무용 분야에서도 독창적인 공연이 이어진다. 홍콩무용단은 10월 18~19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창작 무용극 <24절기>를 선보인다. 이 작품은 계절의 흐름을 현대무용으로 풀어낸 작품으로, 조명·영상·향기까지 결합한 몰입형 무대가 특징이다.
이와 함께 실험적 무용단체 라보라 테리 아츠는 아르코예술극장에서 <파지옥>을 공연한다. 감각적 오브제와 퍼포먼스를 통해 ‘존재의 흔적’을 탐구하는 작품으로, 서울과 홍콩의 동시대 감성을 잇는 장이 될 전망이다.
공연 외에도 서울 곳곳에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스타필드 하남에서는 홍콩 만화문화전, 성수동에서는 서울·홍콩 패션쇼와 패션 전시가 열린다. 또한 홍콩 고전영화와 현대영화를 소개하는 ‘Making Waves’는 영화 팬들의 감성을 자극할 예정이다.
특히 10월 11일 난지한강공원에서는 야외 콘서트와 영화 상영이 결합된 ‘꿈의 정원: 콘서트와 영화’가 열린다. K-팝과 홍콩 팝 아티스트가 함께 무대를 꾸미는 이번 행사는 무료로 진행되며, 추석 연휴와 맞물려 큰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홍콩관광청 고민지 홍보대리는 “이번 축제를 통해 서울과 홍콩이 문화예술로 더욱 가깝게 연결되기를 바란다”며 “다양한 콘텐츠가 준비된 만큼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홍콩 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홍콩 발레단 공연과 오케스트라 공연 티켓은 NOL 티켓(구 인터파크)과 각 공연장 홈페이지를 통해 예매할 수 있으며, 축제 관련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많이본뉴스
많이 본 뉴스
- 1[이승권 원장의 생활칼럼] 이소룡은 영화를, 김용은 소설을 - 룽와 호텔
- 2[김정용 변호사의 법률칼럼] Gambling Ordinance – 도박 조례
- 3[홍콩 생활을 위한 필수 중국어] 필수 어휘 300(49)
- 4[관세청] 불법외환거래 관체청으로 신고하세요!
- 5"항일 영화가 증오 조장" 주장 中네티즌 웨이보 계정 정지
- 6홍콩관광청, 9월 26일 ‘홍콩위크 2025@서울’ 개막
- 7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8-7 (목)
- 8전북도, 재외동포체류지원센터 개소…법률 자문 등 정착 지원
- 9현지 근로자 채용 노력 안 한 고용주, 외국인 근로자 채용 불허
- 10홍콩, 모기 방제 강화조치 폭우로 중단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