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홍콩 교육장관 "하버드대 사태로 홍콩대학 편입학 신청 300건"

기사입력 2025.07.03 15:15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AKR20250702116600009_01_i_org.jpg

    크리스틴 초이 홍콩 교육장관

    [홍콩 성도일보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홍콩대·홍콩과기대 등서 약 40건 합격통지서 발송"


    명문 하버드대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외국인 학생 등록 차단 사태 이후 홍콩 대학으로 유턴을 희망하는 학생이 많아졌다고 크리스틴 초이 홍콩 교육국 국장(장관)이 밝혔다.


    2일 홍콩 성도일보는 초이 장관이 최근 현 정부 집권 3년 차를 맞아 진행한 인터뷰에서 하버드대 사태 이후 "홍콩의 8개 대학이 인재 유치에 나서 약 300건의 편입학 신청을 받았고, 약 40건의 합격통지서를 보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초이 장관은 "홍콩대학교와 홍콩과학기술대학교가 각각 16명과 15명을 합격시켰으며, 합격생들은 하버드대를 포함한 해외 대학생들"이라면서 "인재 유치 반응이 좋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교육국과 8개 대학 총장회가 글로벌 교육 발전 상황을 주시해왔기 때문에 하버드대 사태 직후 신속히 대응할 수 있었다"면서 "홍콩 대학들은 기회가 있기만 하면 인재를 데려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홍콩 대학의 비(非)홍콩 학생 중 70%가 중국 본토 출신으로, 글로벌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홍콩을 국제 교육 허브로 만들기 위해 8개 대학 총장회 글로벌화 조직이 2025∼2028년 약 4천만위안(약 76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초이 장관은 덧붙였다.


    하버드대는 미국 대학 중에서는 처음으로 캠퍼스 내 반(反)유대주의 근절 등을 명분으로 한 트럼프 행정부의 교내 정책 변경 요구를 거부한 후 트럼프 정부와 갈등을 겪어왔다.


    유대인인 가버 총장은 정부 요구안이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수용을 거부했고, 이후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지원금 중단에 이어 외국인 학생 등록을 받지 못하게 하려고 하자 갈등이 격화됐다.


    이후 지난달 20일(현지시간) 매사추세츠 연방법원 결정에 따라 학생비자(F-1)를 소지한 하버드대 외국인 유학생이나 교환 방문자 비자(J-1)를 소지한 하버드대 연구자의 기존 체류자격이 그대로 유지되고 하버드대에서 기존대로 학생 등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연합뉴스 협약)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