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145%로 재산정하자, 중국도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로 높이는 보복에 나섰다.
다만, 중국 정부는 양국의 관세가 경제적으로 의미 없는 수준까지 올랐기 때문에 추가 인상은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84%에서 125%로 올리는 내용의 관세 조정 고시를 11일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발표문에서 "미국이 중국에 지나치게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국제 경제 무역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이며, 기본적인 경제 규칙과 상식에도 어긋나는 것으로, 완전히 일방적인 괴롭힘과 강압적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또 "앞으로 미국이 관세를 아무리 관세 높게 인상하더라도 이로 인한 경제적인 의미는 이제 없다"면서 "오히려 세계 경제사에서 웃음거리가 될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의 관세율은 이미 미국산 수입품이 중국 시장에서 수용될 수 없는 수준이 됐다"라면서 "미국이 관세로 숫자놀음을 계속한다고 해도 이제 무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조치에 대해 미국이 추가로 상호관세를 인상하더라도 중국 측은 더 이상 관세율을 올리는 방식으로 대응하지는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미국이 지금까지 내놓았던 상호 관세를 전면적으로 철회하는 큰 걸음을 내딛기를 강력히 촉구한다"면서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은 이미 경제적인 의미가 사라진 숫자놀음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대변인은 이어 "미국이 계속해서 이러한 관세 장난을 이어가도 중국은 이에 대응하지 않겠지만 만약에 중국의 핵심 이익이 실제로 침해된다면, 강력히 반격하고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전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에 대한 누적 관세율을 145%로 재산정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펜타닐 대응을 문제 삼아 부과한 20% 관세에 상호관세 125%를 더한 수치다.
또 그동안 면세 혜택을 받던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 미국으로 들어가는 800달러(약 117만원) 미만의 소액 소포에 대한 관세율을 오는 5월 2일부터 120%로 상향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중국 당국은 전날 84%로 상향한 대미 맞불 관세율을 이날 또 추가로 올렸다. 중국은 이밖에 미국 여행 및 유학 자제령, 미국 영화 수입 축소 등 비관세 조치에도 나섰다. (연합뉴스 협약)
많이본뉴스
많이 본 뉴스
- 1서울시, 중국 상하이시와 문화관광 교류 활성화 '맞손'
- 2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6-26 (목)
- 3법무부, 재외동포 정착 돕는 '동포체류지원센터' 23곳 선정
- 4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6-27 (금)
- 5李대통령 "경제는 타이밍…속도감있는 추경집행 중요, 국회협조 당부"
- 6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6-28 (토)
- 7독일도 애플·구글에 "중국 딥시크 앱스토어 퇴출" 통보
- 8中유학생 쏠림에…日, 외국인 박사과정 생활비 지원 제외
- 9뉴질랜드 '황금비자'에 미국인 등 세계 부유층 몰려
- 10中, 자국산 첫 비만약 시판 허가…위고비에 도전장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