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코트라 정보] 홍콩 신발시장 대표 키워드: 기능성, 범용성, 지속가능성

기사입력 2023.11.08 13:0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8.jpg


    9.jpg

     

     

    최근 홍콩 신발시장 트렌드

     

    1)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유행하며 기능성 운동화에 대 한 관심 증대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이 유행하며 신발 시장 내 기능성 운동화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Euromonitor에서 2022년 홍콩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라이프스타일 관련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71%는 일주일에 하루 이상 운동한다고 답했으며, 이는 2019년 대비 20% 증가한 수준이다. 

     

    또한, 2022년 말부터 마라톤 등 대형 스포츠 행사가 증가함에 따라 러닝화, 등산화를 포함한 기능성 운동화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편안하고 내구성 좋은 기능성 신발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신발 제조 업체들은 혁신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원재료로 제품에 변화를 주고 있다. 

     

    대개는 보다 가볍고 튼튼한 원재료를 활용하고 인체공학적으로 편안한 품이 현지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지압 샌들 또는 평발 교정, 족저근막염 예방 등 의료 기능을 갖춘 인솔(insole)이 내제된 Dr. Kong Foot-care, Ping Kee Shoes, Pen-Walking 등의 브랜드들이 있다. 

     

    특히 홍콩 유명 기능성 신발 브랜드 Dr. Kong의 경우, 운동화 구매시 평발, 요족 등 개인 맞춤형 인솔을 맞춤형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소비자 니즈에 따른 인솔(insole) 선택이 가능한 홍콩 신발 브랜드 Dr. Kong 

    10.jpg

     

     

    2) 다양한 스타일링에 잘 어울리는 범용성 높은 제품에 대한 선호 상승

     

    최근 홍콩 신발 시장에서는 개성이 강한 제품보다는 다양한 스타일링에 모두 잘 어울리는 범용성이 높은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운동화만큼 스타일링이 용이하면서도 독특한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청키 로퍼*(Chunky Loafer) 와 메리 제인**(Mary Jane) 슈즈가 현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주: 청키 로퍼(Chunky loafers)는 비교적 두툼한 밑창이 달린 신발을 의미

     

    **주: 메리 제인(Mary Jane)는 원형 토(toe)와 발등을 가로지르는 스트랩이 특징인 신발을 의미

     

    특히 최근 빈티지 트렌드가 인기를 끌면서 계절 유행을 적게 타 는 클래식 스타일제품인 청키 로퍼와 메리 제인 슈즈에 대한 인기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청키 로퍼의 인기에 대해 조선일보는 2022년 말 넷플릭스(Netflix)에서 방영한 미인기 드라마 ‘아담스 패밀리(The Addams Family)’ 속 캐릭터 ‘웬즈데이 (Wednesday)’가 신었던 청키로퍼가 화제가 되며 전세계적인 청키 로퍼 센세이션을 일으켰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러한 인기에 맞춰 신발 제조 업체들 또한 굽이 높은 날렵한 형태의 로퍼, 스웨이드 재질의 로퍼, 메탈릭 스타일의 로퍼 등 다양한 디자인의 청키 로퍼와 메리제인 슈즈를 출시되기도 했다.

     

    3) 신발 시장 속 친환경 트렌드

     

    패션 분야 내 친환경 트렌드가 점차 강조됨에 따라 신발 산업 내에서도 친환경적인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홍콩무역발전국 (HKTDC)에 따르면, ESG 트렌드가 늘면서 친환경 소재를 찾는 신발 제조업체들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친환경 트렌드 신발 의 대표적인 예로는 식물 원재료를 사용한 크롬 프리(Chrome-free) 가죽*으로 운동화를 제작하는 Kibo가 있다. 

     

    Yahoo 뉴스 보도에 따르면, 최근 해당 브랜드는 사과 껍질 등 식물성 폐기물을 활용한 비건 가죽을 개발해 사과 15개에서 나온 껍질로 운동화 한 켤레 제작에 필요한 가죽을 생산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을 95%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주: 크롬 프리(Chrome-free)가죽은 배지터블(vegetable) 가죽이라고도 불리며 야채, 식물 등으로 만든 친환경적인 가죽을 의미

     

    또 다른 친환경 운동화 브랜드로는 Lane Eight사의 천연 비건 섬유 운동화가 있으며, 해당 업체는 약 11개의 플라스틱 병을 이용해 만든 폴리에스테르 실로 가벼우면서도 편안한 착화감을 주는 스웨이드 신발을 판매한다.

     

    11.jpg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