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홍콩, 매장에서 브랜드가 사라진다

기사입력 2009.11.04 19:08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 생필품에서 뷰티까지 PB제품 범위 확장 ■ PB상품 일반적 확산동향 홍콩의 소매업은 개별상점보다 유통체인을 중심으로 발달됐다. 슈퍼마켓(Wellcome, Park n Shop), 드럭스토어(Manning\'s, Watsons), 종합화장품매장(Sasa) 등이 대표적인 예이며, 이미 수년 전부터 많은 유통매장에서 자체브랜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홍콩 내 150개 매장을 둔 Watson‘s의 경우 자체브랜드로 판매하는 제품은 1000~1500개에 달한다. 제품라인은 주로 저렴한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확산되며,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에 유통매장의 인증을 거친 제품을 구매할 수 있어 이들 제품을 선호한다. 유통체인매장 활성으로 인해 유통사에 대한 신뢰가 형성돼 있어 이들 유통매장 브랜드에 대한 신뢰 역시 높은 편이다. [[1]] ■ PB시장 트렌드 기본적으로 홍콩 내에서는 제조가 이뤄지지 않아 이들 유통체인은 외국제품을 수입해 왔는데, 최근에는 수입상을 거치지 않고 유통체인 구매부서에서 직접 생산자와 접촉하는 다이렉트 소싱을 선호한다. 이들은 다이렉트 소싱을 통한 자제브랜드 상품 제작을 통해 ▲자유로운 가격 책정 ▲물량 및 품질 조절 ▲마진 상승 ▲홍보비 절감 등의 이익을 얻고 있다. 각 유통체인은 품질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갖고 있어 별도의 품질관리부서를 두고 위생 및 재료 검사를 진행한다. - 뷰티와 스킨케어도 PB 인기 기존의 PB제품이 생필품 위주의 저가제품이었다면 최근 PB는 뷰티와 액세서리로도 확장되고 있다. 홍콩 내 63개 매장을 갖춘 대표적 화장품 유통체인 SaSa는 유통체인만의 역할에서 벗어나 화장솜, 네일케어와 같은 미용도구부터 스킨케어, 색조화장품까지 자체브랜드 영역을 넓혔다. Sasa의 신상품 화이트닝 스킨토너는 소비자로부터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 세련된 포장 홍콩 유통업체에 의하면 홍콩소비자들은 기본적으로 유통매장 브랜드 제품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어 소비자 반응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상품포장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가격조건을 맞추기 위해 심플한 포장을 하면서도 트렌드에 뒤지지 않는 세련된 패키징이 매우 중요하다. - 인기 PB제품 예 [[2]] 각 유통체인은 각사 개발 브랜드(Wellcome의 First Choice, Pank n Shop의 Best Buy 등)를 자사매장에서 적극 판매하고 있다. 단 Watsons Water의 경우 Mannings, Gourmet(슈퍼마켓) 등 계열사는 물론 7-11, Wellcome 등에서도 판매된다. ■ 제조기업 참고사항 홍콩의 경우 PB제품의 인기가 경기불황 때문이라고만 보기 어렵다. 홍콩 소비자들은 기본적으로 저렴한 제품을 선호해 유통체인 브랜드라고 해서 기피요인이 되지는 않는다. 최근의 PB 인기는 일정 수준 이상의, 즉 검증된 상품을 원하는 소비자 수요 증가에도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홍콩소비자들이 구매 시 가격을 가장 중시해 가격이 싼 중국산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중국산 제품의 품질 관련 사고(식품, 완구 등)가 빈번히 발생하자 중국산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져 가격이 조금 높더라도 안전한 제품을 구매하려는 욕구가 증가했다. 그러나 일반 홍콩소비자들의 경제관념은 여전히 투철해 고가의 고급제품보다 여전히 저렴한 제품을 선호한다. 이러한 소비자 수요는 PB제품 선호현상으로 나타나 적당히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는 유명 유통체인의 자체브랜드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 유통체인과 파트너십 활용 시 장기전략 고려 Mannings, Watsons와 같은 홍콩의 대형 유통체인은 홍콩 내뿐 아니라 중국 등 아시아 지역에도 상품을 공급하고 있어 상품공급 확장의 잠재력이 높다. 또한 변화주기가 짧은 홍콩시장의 수요에 유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지 유통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은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유통매장과 협력 시 판매율은 높으나 입점경쟁으로 인해 입점이 어렵고 단가가 낮게 매겨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단기간의 이윤 추구보다 꾸준한 납품을 통해 바이어와의 신뢰를 구축해 안정적 파트너십을 맺고 장기적 투자를 기대하는 것이 좋다. - 한국 뷰티제품 인기 최근 한국 뷰티제품이 인기를 누리고 있다. 기존에는 일본제품의 인기가 높았으나 점점 한국스타일이 인기를 얻음에 따라 한국산 수분팩, 헤어제품, 스킨케어, 코팩 등 중저가의 한국화장품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SaSa와 같은 미용 유통업체는 헤어제품, 색조화장품 등 중가 이상(HK$ 60 이상)에 기능성이 강조되는 제품에 자체브랜딩을 강화하는 추세다. 문의 : 코트라 홍콩비즈니스센터 민유지 (myoojee@kotra.or.kr)
    backward top home